본문 바로가기
업무기록

공기업 사무직은 무슨 업무를 하게 되나?(feat. 5년차 사무현직자) - 1탄

by 업무속에 모카치노 2022. 1. 16.
반응형

들어오기전에 사무직하면 너무나 막연하게 느껴졌다. 그냥 컴퓨터 쓰는 모든일을 한다는건가...?

그렇다면 지금까지 내가 쌓아온 스펙을 자소서와

면접때 어떻게 녹여내야하는거지?하는 고민이 많았다. 과거의 나와 비슷한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되고 나스스로도 머릿속에 업무 노하우를 하나씩 정리해보고자 기록한다.

우선 대략적으로 굵직한 부분만 요약기술하고 이게 어느정도 끝나면 그 다음은 직무별 세부내용, 노하우, 마지막으로는 내가 그동안 업무하면서 실수했던 일들, 얻은 점들을 현재시점에서 정리해볼 생각이다.

10년 차가 돼서 다시보면 엉성한부분 투성이겠지만...ㅎㅎ

아래순번은 내가 평소 하는 업무와 관련하여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업무 순이며, 채용 시 공식적으로 활용되는 직무기술서가 아닌 순전히 실무자입장에서 바라본 업무내용이니 참고정도로만 여기면 좋을듯 하다.

* 수익성이 약한 공단기준으로 공사와는 차이가 다소 있을 것

1. 경영평가, 반부패시책평가 등 각종 공공기관 대외평가에 관한 업무

: 연간 계획 열심히 짜서 활동 추진하고 실적정리해서 보고서를 만드는 일.

> 공단 굵직굵직한 고유업무마다 큰 맥락을 읽어낼수 있어야하기에 신입 보다는 적당히 연차있는 직원들이 하게 된다. 각 분야별로 평가지표가 내려오며 일년농사를 잘 지어야 평가결과가 좋은데, 보통 이러한평가 보고서밀 쓰는 TF팀이 따로 구성되기도하지만 어떤기관은 고유 업무담당자가 직접쓰는 경우도 많다.

필요한 능력 : 기본적으로 짜임새있게 글을 잘쓰고, 추상적인 성과도 글로서 집약적으로 풀어내는 능력이 필요하며 여기에 덧붙여 최근 몇년간의 성과추이와같이 연도별 데이터관리, 분석 잘하면 성과를 나타내기에 수월.

2. 회계, 재무, 계약

: 자본금 등 부채관리, 자산관리, 외부계약

필요한 능력 : 엑셀 기본적으로 잘 다루고 숫자에 강하고 감도 좋고 법령 잘 보고 감사에 대비해서 늘 크로스체크하는 꼼꼼함.

3. 고객만족, 윤리, 인권경영 등 경영방침과 관련한 일들.

> 1번의 대외평가와도 긴밀히 연관되며 어느 공공기관이든 사회적 책임 실현, 지속가능경영이 대두되고있는 실정이기에 소홀히 여기는곳은 없는 듯 하다. 소속 기관만의 특색있는 주요업무를 필두로 내외부 고객만족, 윤리와 인권가치를 증진시킬 수있는 다양한 정책을 만들고 실행시켜나가게되며 개인적으로 중장기 계획이 꼭 필요하다 생각되는 업무다. 담당자가 어떤 마인드를 가지고 임하느냐에따라

나름의 큰 보람도 느낄 수 있는 업무라 생각한다.

필요역량 :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은 공기업특성상 효율이 매우 떨어짐.

그대신 타조직 우수사례들을 자사 특성에 맞게 접목시키고 다양한 행사들을 기획하고 아이디어가 뛰어나며 성과관리에 특화되어있다면 더할나위없이 좋은듯.

2편에서는 아래의 업무를 추가로 더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4. 감사업무

5. 서무업무

6. 인사총무교육 업무

7. 노무업무

8. 국감, 행감등 대외기관업무

9. 민원업무

#공기업사무직, #공기업사무직무, #공기업현직자

#공기업자소서, #공기업현직자

댓글